연간개설과목

교육과정 : 4개 분야 12개 과정 19회 교육

과정별 교육계획
분야 교육 구분 과정명 대상 인원(명) 교육기간 주요 내용
기본교육
[2개 과정
3회 교육]
대면 인사·행정 실무의 이해 기타 30 3.15(1일) ◦ 인사노무와 행정처리 및 회계 업무의 이해
연구사와 편년(2기) 준조사원 50 10.12(1일) ◦ 시대별 주거지의 특징과 변천, 조사법의 이해
원격 연구사와 편년(1기) 보조원 50 3.7(1일) ◦ 시대별 자기의 특징과 변천, 조사법의 이해
전문교육
[6개 과정
8회 교육]
대면 QGIS프로그램 활용과 실습 (서울·경기·강원권) 기타 40 4.11(1일) ◦ QGIS프로그램을 활용한 실무적용 및 활용법
출토유물 수습 및 귀속·보관절차의 이해 기타 30 5.25~26(2일) ◦ 응급유물수습법 및 귀속·보관절차의 이해
유물의 이해와 실측 보조원 40 6.20~22(3일) ◦ 유물의 이해와 실측기초, 첨단기술 유물활용·적용법
매장문화재 조사실무 보조원 30 7.12(1일) ◦ 매장문화재 조사방법의 이해
제철유적 조사방법-제철캠프 보조원 30 8.9~11(3일) ◦ 제철공정 및 제철유적 조사방법의 이해
매장문화재 콘텐츠 제작과 활용 준조사원 40 11.1(1일) ◦ 매장문화재 활용 콘텐츠 사례 및 활용법
QGIS프로그램 활용과 실습 (영남권·제주) 기타 40 4.12(1일) ◦ QGIS프로그램을 활용한 실무적용 및 활용법
QGIS프로그램 활용과 실습 (충남·호남권) 기타 40 4.13(1일) ◦ QGIS프로그램을 활용한 실무적용 및 활용법
안전교육
[2개 과정
6회 교육]
대면 발굴현장의 운영과 안전관리(1기) 책임조사원 80 2.7(1일) ◦ 관계법령의 이해 및 안전의식 함양
발굴현장의 운영과 안전관리(2기) 조사원 80 2.8(1일) ◦ 관계법령의 이해 및 안전의식 함양
발굴현장의 운영과 안전관리(3기) 준조사원 80 2.9(1일) ◦ 안전관리의 이해 및 응급대처능력 향상
발굴현장 안전관리 실무(1기) 조사단장 80 8.21(1일) ◦ 조사기관운영·현장관리 등 안전관리 실무
발굴현장 안전관리 실무(2기) 조사원 80 8.22(1일) ◦ 조사현장관리 등 안전관리 실무
발굴현장 안전관리 실무(3기) 보조원 80 8.23(1일) ◦ 조사현장 안전관리 실무 및 사고대처요령
소양교육
[2개 과정
2회 교육]
대면 발굴조사요원의 마음근육 해피니스 준조사원 30 6.8(1일) ◦ 직무 스트레스의 이해와 자가관리법의 이해
매장문화재조사요원 신규자교육 보조원 20 9.12~14(3일) ◦ 신규자가 갖춰야 할 소양 및 기초지식 습득
※ 교육방법, 일자, 장소 등은 신청인원 및 교육여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